▲ 김자현이 세종29년에 받은 교지.
동해문화원, 호구·교지·상서 등
강릉김씨 감찰공파 항길댁(항길댁 14대 종손 성균관부관장 김남용씨 댁)에서 보관하던 고문서 371건(650쪽)을 번역 정리한
동해시 고문서 2권이 발간됐다.
강원대 배재홍 교수의 편저로 동해문화원이 발행한
이 책은 강릉 김씨 항길댁의 가계와 보관 고문서의 성격과 그 가문의 사회적 위상이 잘 나타나 있다.
주요 내용은 호구자료 107건, 민이 관부에 올리는 일종의 탄원서인 소지류 54건, 교지(敎旨)류 26건, 상서(上書) 24건 상관에게 공적인 일을 알리거나 문안할 때 올리는 문서인 고목(告目)등 총 371건으로 유형별 시대별로 살펴보면 호구자료가 107건으로 가장 많다.
또 가장 오래된 문서는 1447년(세종29)에 받은 교지(562년 전 ‘김자현의 문과 홍패’)인 것으로 나타나 화제가 되고 있다.
이번 조사된 동해시 고문서 2권은 그 가문의 위세와 지역과 관련 있는 기록을 통해 문서작성 당시의 실제 모습과 역사적 사건을 결정적으로 해명하거나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료적인 가치가 크다는 것.
또 고문서에는 당 시대의 제도나 생활양식 등 다양한 기록들이 담겨있어 고문서를 통한 역사의식을 새롭게 할 수 있다는 점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 .
한편 동해문화원은 지난 2002년도에 관동대 박성종 교수의 연구로 남양홍씨(홍순협씨 댁)고문서와 남양홍씨(홍순성씨 댁)고문서, 강릉최씨(최광석씨 댁), 해주오씨(오기문 씨 댁)의 고문서를 번역한 동해시 고문서 1권을 발간했다.
이번 2권은 한 집안에서 보관해 온 것을 시대별로 조사 번역함으로써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잘 조명한 것이 큰 특징이다.
김형순 동해문화원장은 “앞으로도 동해시 향토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고문서의 문화적 가치 조명을 위해 연구조사 번역사업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강원도민일보 전제훈 기자
'족보이야기 > 옛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정대부란.. (0) | 2010.09.28 |
---|---|
한식 [寒食]의 유래 (0) | 2010.04.12 |
강릉김씨 감찰공파 문중 보관하던 371건 번역 (0) | 2010.04.01 |
작가 이상 출생비밀 밝혀졌다 (0) | 2010.03.31 |
족보의 개념이해 (0) | 200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