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에서 태어나고 자라 평생을 살아 온 ‘진짜 강릉사람’이 강릉 거리에 켜켜이 쌓인 옛 이야기를 풀어내는 역사문화 해설서 2권을 냈다.
박삼균(69) 영동인문학연구소 대표가 펴낸 ‘강릉 고샅길 사용 설명서’다. 
저자는 국어 교사로 재직하다가 퇴직 후 골목투어 프로그램을 만들고 가이드 역할을 해았다. 
그가 강릉 거리 곳곳에 배어 있는 이야기들을 씨줄 날줄을 엮듯이 기록하고 해설한 강릉 이해 지침서다. 
강릉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지난해 ‘1부-원도심지역 및 월화거리’ 편을 낸 데 이어 올해 ‘2부 구정면 성산면 편’을 내놓았다.
1부에서는 읍성과 관아 이야기, 역사 속 월화정 이야기 등 강릉 도심 명소와 문화유산에 대한 해설부터 용강동과 서부시장, 동부시장과 아파트 이야기 등 근·현대 강릉 거리의 변천 과정에 이르기까지 강릉 시가지가 품고 있는 모든 이야기 보따리가 낱낱이 풀어 헤쳐진다.

올해 펴낸 2부에서는 구정면과 성산면 각 마을의 역사와 명소, 생성 과정, 생활 문화가 마치 박물관 해설서를 대하듯 시선을 사로잡는다.

구정면 어단리 편에서 필자는 “어단(於丹)이라고 쓰지만, 그것은 일제 강점기 이후의 표기이고, 그전에는 어단(御壇)이라고 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야기와 기록에 의하면, 고려·조선 교체 초기에 강릉의 문사들이 고려 우왕의 위패를 모신 어단을 쌓아 놓고 충절을 지키며 조선 조정에서는 벼슬살이를 하지 않겠다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의 결의를 다졌다고 한다. 
그후 조선 왕조가 자리잡으면서 어단은 해체되고, 다만 그들의 선비정신을 가상히 여겨 추방하자 그들이 언별리 깊은 골로 들어가 단경(壇京)이라고 부르며 충의를 지켰다는 얘기가 잘 알려져 있다”는 풀이가 더해진다.

책장을 넘기는 것만으로도 저자와 동행, 숨어 있던 얘기를 들으며 강릉 여행의 흥취를 배가할 수 있다. 
저자는 “내가 겪고 경험한 과거사도 조만간 역사 속에서 매몰될 것이 분명하니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기억의 파편이라도 남겨두자는 결심”이라며 “앞으로 강릉시 해변지역을 비롯 주문진 등 나머지 읍·면 지역의 고샅길 이야기도 완성해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 강원도민일보 황선우기자

'커피한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족과 평민  (0) 2024.05.07
정독도서관과 정체를 숨긴 돌덩이  (0) 2023.03.27
근덕면 맹방 바닷가  (0) 2023.03.27
강릉 호혜정과 금란정  (0) 2022.09.06
성균관이 추석차례상 간소화 선언.  (0) 2022.09.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