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에서 사용한 청동 승관인(僧官印)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사지 발굴조사 지역에서 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에서 사용한 청동 승관인(僧官印)이 확인됐다.

삼척시와 (재)불교문화재연구소가 2014년부터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 일대에서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사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올해 발굴조사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인장 2과가 출토됐고, 12점의 대호(大壺, 항아리)를 묻었던 장고(醬庫, 장독 보관시설)가 확인됐다.

출토된 청동인장 2과는 모두 완전한 형태이며, 이 중 하나는 청동인주함에 인장이 담긴 채 출토됐다.

보존처리 중인 청동인장은 2과 모두 정사각형(5.1㎝)으로, 윗면에 끈을 매달 수 있는 손잡이가 있는 주문방인(朱文方印)의 형태로 제작됐고, 청동인장에는 6자의 전서체(篆書體)와 기하문(幾何文)이 각각 새겨져 있다.
2과 중 한점의 인문(印文)이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으로 판독되며, 서체는 당나라 관인과 유사한 구첩전(九疊篆, 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의 초기형태이다.

이 인장은 통일신라시대 승단에서 사용한 승관인으로 판단하고 있다.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청동인장은 경주 황룡사지 출토품과 손잡이와 명문 서체 등에서 전체적인 형태와 크기가 매우 흡사한 데, 한국 인장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또, 이번 조사에서 도내에서 처음으로 장고(醬庫) 터가 확인됐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지 내부에 대호 12점을 정연하게 묻어 사찰음식 재료를 보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는 남원 실상사를 비롯 경주 황룡사지와 성건동 유적에서도 확인됐으며, 선종사찰 고원(庫院)시설의 장고였음이 밝혀졌다.

삼척 흥전리사지는 통일신라시대 영동지역 불교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사찰로, 그동안 금당지(金堂址), 탑지(塔址) 등 주요 가람시설이 확인됐고, 특히 신라시대 왕이 임명하는 승단의 최고 통솔자인 ‘國統’(국통)이 새겨진 비조각(碑片)을 비롯 청동정병(靑銅淨甁), 금동번(金銅幡, 깃발) 등 중요 유물이 출토돼 위세높은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삼척시는 흥전리사지의 실체와 역사적 가치를 규명, 체계적인 보존·관리·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차 발굴조사 성과를 집성한 학술대회를 내년 2월 개최할 계획이며, 학술대회를 통해 도출된 조사성과와 의의, 정비 방안 등을 담아 사적지정 신청도 계획하고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5일 오후2시 도계도서관과 흥전리사지 발굴현장에서 유물을 일반인에게 공개했다.

출처:2017-12-5 (화) - 황만진 기자

+ Recent posts